텍스트 파일 vs 바이너리 파일

BackEnd

바이너리 파일 : 문자와 숫자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텍스트 파일 : 문자만 저장되어 있는 파일

 

data는 크게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져있다

 

 

메모장(Text Editor)으로 이미지 파일을 열면

 

데이터를 문자로 읽어서 보여주는데

 

읽을 수 있으면 텍스트파일이고

읽을 수 없으면 바이너리 파일로 나온다 

문자와 숫자가 섞여있기 때문에 깨진건 전부 숫자이다

 

 

바이너리 파일 :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읽고 쓴다.

텍스트 파일 : 숫자를 문자로 변환 후 쓴다.

 

텍스트는 변환이 일어난다 

 

바이너리 파일은 변환없이 파일에 그대로 저장한다 그게 바이러니 파일

텍스트파일은 숫자를 문자로 바꾼다 문자는 그대로 내려오는데 숫자는 문자로 바꾼다 12를 문자로 바꾸면 "1", "2" 이렇게 바꾼다

 

12는 1, 2 로 바꾸고 4바이트에서 2바이트로 줄어진다 float4바이트는 아래처럼 6바이트로 바껴서 사이즈가 커진다

 

문자를 숫자로 바꾸면 유리할 때와 불리할 때가 있다 

 

이걸 저장하면 텍스트파일이 된다 

 

텍스트 파일의 장점은 사람이 읽기 쉬운 것

바이너리 파일은 숫자가 들어가 있어서 사람이 읽기에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기 어렵다

 

HTTP는 텍스트 기반이라 텍스트밖에 전달못할까?

 

우리는 이미지,동영상을 다운받는데 이게 모두 바이너리 파일이다 

 

텍스트기반에서 바이너리를 어떻게 전송하느냐? 그때 마임타입을 적어준다

 

text, image, audio, video, application 등 엄청나게 많은 여러가지 타입이 있는데 그 안에 서브타입이 또 존재한다 

 

response.setContextType("text/html") 이렇게 적어줘야 한다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심사의 분리, MVC 패턴 - 실습  (0) 2022.12.15
관심사의 분리, MVC 패턴 - 이론  (0) 2022.12.15
Base64 64진법이란?  (0) 2022.12.15
스프링 MVC 공부  (0) 2022.09.14
자바의 정석 리터럴의 타입과 접미사 정리  (0)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