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맨(Postman) 사용해보기

개발

우선 포스트맨이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우리가 GET방식 또는 POST방식으로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을 때 

보다 편리하게 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고

 

또한 한번 출력했던 값을 저장해서 다음에도 바로바로 볼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플랫폼이다

 

구글에 포스트맨이라고 검색하고

구글 계정으로 간편하게 로그인하면된다

 

그러면 이렇게 홈화면이 나오게되는데 왼쪽에 있는 Workspaces를 클릭하자

 

 

여기를 클릭하면 된다

 

 

그러면 이렇게 My Workspace라고 나오는데 이걸 클릭하자

 

클릭하면 이렇게 최근에 입력했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나같은 경우 GET방식으로 쿼리스트링을 사용해서 년월일을 구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테스트를 포스트맨으로 진행했다

 

이처럼 하단에 KET VALUE를 나눠서 보여주기 때문에 수정도 편리하고 

나중에 다시 들어가서 볼 때 일일이 다시 입력하지 않아도 됨으로 일의 능률과 속도면에서 압도적으로 편리하다

 

 

메서드를 클릭하면 엄청나게 많은 것들이 나오는데 보통 GET,POST 둘 중 하나를 사용하니까 본인이 필요한 것을 클릭해주면 된다

 

그리고 옆에 주소창에 원하는 URL을 작성하고

Send버튼을 클릭해주면

 

하단에 내가 요청한 데이터를 출력해준다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예기치 않은 에러를 마주할 때가 있다

 

그럴때 해당 코드 어디가 문제인지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리액트 스프링부트의 예로 들면 Axios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해당 Axios 코드가 문제인지 다른 곳에서 문제가 생긴것인지 파악하고자 할 때가 있는데 그럴 때 일일이 코드를 찾기보다는

일단 포스트맨을 열어서 요청이 잘되는지부터 확인해볼 수 있어서 아주 편리하다

 

이것으로 간단하게 포스트맨이 무엇이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