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은 쿼리스트링으로 전달한다고 알고는 있는데
실제로 웹에서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우선 날짜를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코딩한 다음 GET방식으로 ? 뒤에 값을 넣어서 URL요청을 해보았다
http://localhost:8080/getYoil?year=2022&month=12&day=15
웹사이트에서 이렇게 작성해주고 엔터를 쳐보면
이렇게 출력이 잘 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마우스로 우클릭을 해서 검사를 눌러보자
이렇게 우클릭 검사를 누르면 내가 작성한 코드를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4번째 탭에 있는 NetWork를 눌러보자
아마 이렇게 나올 것이고 설명되어있는데로 윈도우는 컨트롤 R 맥은 커맨드R을 눌러보자
자 이렇게 네트워크에와서 새로고침을 하면 방금 내가 요청한 내용을 볼 수 있다
간단하게 Name에서 쿼리스트링을 볼 수 있고 Status 200 으로 성공적이라고 나타난다
이제 저걸 마우스로 클릭해보면 보다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이렇게 제너럴부터 Response Request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볼 수있게 되었다
GET방식이고 상태는 200으로 성공적
요청한 포트는 8080이라고 나온다
저기에 View source를 누르면 보다 자세한 내용을 제공해준다
여길 보면 응답과 요청에 대한 소스를 보여주는데
HTTP 1.1 그리고 상태는 200
content type은 text/html utf-8로 받았다고 나온다
요청을 보면 GET뒤에 쿼리스트링데이터를 같이 보여주고 마찬가지고 HTTP/1.1이다
코딩을 배우기전에는 키보드에서 뭔가 잘못눌렀을 때나 보여질 법한 내용들이지만
알고보니 새삼 웹브라우저는 많은 것을 제공해주고 보여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톰캣 서버 실행 시 한글깨짐 문제해결 (0) | 2022.12.20 |
---|---|
포스트맨(Postman) 사용해보기 (0) | 2022.12.15 |
HTTP 요청과 응답 프로토콜(protocol) (1) | 2022.12.15 |
미래의 나를 위해 적는 AWS EC2 배포 설정방법2 (2) | 2022.12.15 |
미래의 나를 위해 적는 AWS EC2 배포 설정방법 (0)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