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eturn시에 하나의 Dom만 리턴할 수 있다.
- 그러니까 <div></div>외에 하나 더 있으면 에러가 나온다는 뜻
<div><div> 내용</div> </div>
이렇게 div 안에 새로운 div를 열고닫고 마지막에 닫으면 사용가능
반대로 <div>내용</div><div>내용2</div>
//(2) 변수선언은 let혹은 const로만 해야함 var은 쓰지말자
//(3) if사용 불가능 x -> 삼항연산자 사용가능 (조건? 값(true):값(false)) 따옴표를 꼭 넣어줘야한다 안넣으면 오류난다
//(4) 조건부 렌더링 (조건&&값(true)
위에 삼항연사자처럼 트루면 보여주고 아니면(:) “아닙니다” 를 보여줬다고 가정했을 때 조건부렌더링은 삼항연산자 : 뒤에 아무것도 넣지 않으면 트루이면 값을 보여주고
아니면 아무것도 보여주지 않는 것 처럼 조건이 트루일때만 렌더링을 하고 그렇지 않으면 하지마라는 뜻
//(5) return안에 에 (); 표시가 없으면 출력조차 되지 않는다
//(6) let c; 라고 적고 콘솔로그를 보면 undefined가 나온다 그건 정의되지 않은 것이라는 뜻 다른문법에서는 null나옴
//(7) css 디자인
// - 내부에 적는 방법 - const mystyle 이라고 선언해주고 거기에 값을 적은다음 그 변수명 을 심어서 쓰는데 추천은 안한다
// - 외부 파일에 적는 방법은 App.css - 차라리 여기에 쓰는게 좋다
// - 라이브러리 사용 (부트스트랩, component-styled) 방식도 있어서 차차 알아가볼 예정
- index.js 에서 id가 root인 것을 찾는데 그 아이디는 index.html에 있다
- 바디태그안에 보면div안에 root라고 아이디가 선언되어있는데 그렇다고 html안에 작성한다고해서
- 그게 출력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저 div id가 루트인 녀석을 통해서 js파일에서 값을 출력할 것이고
- 그 값이 저 아이디가 있는 html파일을 통해 우리가 볼 수 있게 출력되는 것이다
- 그리고 그걸 제어하기위해 우리는 App.js파일을 선언해줬고
- App.js파일에서 작성한것을 index.js에서 받았고 그걸 렌더해서 html파일로 넣어서 우리가 결과적으로 볼수있게 된다
'Front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xios로 fake api 받아서 출력하기 (0) | 2022.12.31 |
---|---|
프론트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방법(React로 fetch,axios 사용하기) (0) | 2022.12.31 |
flux 개념정리 및 redux (0) | 2022.12.31 |
리액트 전개연산자 깊은복사 얕은복사 (0) | 2022.12.31 |
컴포넌트의 개념 정리 (0)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