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커밋

개발

블로그를 만들고 유튜브를 보다가 1일 1커밋에 대해 알게됬다.

 

아직 깃허브라는 사이트 자체도 생소하고 들어가면 어지럽다.

 

외국사이트이기 때문도 있겠지만 아직은 나에게 엄청 낯설다

 

유튜브에 1일1영상이라는 말이 있다고한다.

 

1일 1커밋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하지만

 

하루에 1번씩 코드를 짜서 그걸 업로그하는게 1일1커밋인 것 같은데 맞는지 모르겠다

 

이고잉님의 생활코딩을 보고 따라하면서 웹사이트 만드는 것을 배웠다.

 

생활코딩 강의를 통해서 깃허브 계정을 만들 수 있게 되었는데 아래는 내 계정이다.

 

 

뭔가 복잡하고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몰라서

그냥 간단하게 만들었다.

 

 

배운대로 이렇게 파일을 업로드했는데 클릭하면

 

 

이렇게 내가 작성한 코드를 볼 수 있다! 정말 신기하다.

 

이 말은 즉 내가 다른사람의 코드도 볼 수 있다는 것이고

 

배우는 단계에서 비슷한 수준혹은 내가 따라가야할 사람들은 어떻게 작성하고있는지 공유를 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런 사이트를 무료로 풀어준 깃허브가 진짜 대단한 것 같다..

 

무튼 본론으로 돌아가서 이렇게 코딩을 확인 할 수 있고

 

내가 만들어본 테스트용 웹사이트를 주변사람들과 공유도 할 수 있게 해주는데 그게 정말 너무 감사한 일인 것 같다.

 

해당 사이트에서 우측에 세팅을 클릭하고

 

아래로 쭉 내리게 되면 깃허브 페이지스 라고 GitHub Pages 가 나오는데

 

거기서 check it out here! 을 클릭해준다.

 

 

저기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곳을 클릭해주면

 

 

짠! 

 

이렇게 나에게 주소 하나를 배정해주게 되는데

 

위 주소를 클릭하거나 복사해서 다른사람에게 보내주면

 

나의 결과물을 휴대폰이든 노트북이든 pc든 인터넷만 연결되있으면 어디서든 확인할 수 있다.

 

나같이 비전공자에 이쪽 분야에 대해 아주아주 무지한 사람에게는 너무나도 신기할 수 밖에 없다.

 

내가 뭔가 낯선 알파벳을 조합해서 사이트를 만들고 그걸 공유할 수 있다?

 

이거 참 신기한 일 아닌가 !

 

나는 개인적으로 필름사진을 찍기도 하는데

 

인스타그램외에는 내가 이 사진들을 업로드 할 곳이 없어서 웹사이트를 하나 만들어야하나?

 

다른 사람의 플랫폼을 이용하거나 혹은 도메인을 돈주고 사는 방법 등을 생각했는데

 

생각해보니 나는 이제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게 되었지 않은가?

 

그렇다면 아직은 아주 허접한 수준의 웹페이지라고 부르기 민망한 수준의 결과물이지만

 

앞으로 이걸 통해서 내가 공유하고자 하는 내용과 또 나의 사진들을

이렇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0에 수렴한 나의 지식이 조금씩 채워져가는 것 같아 개인적으로 참 뿌듯한 순간이다.

 

아직까지는 재밌다! 꾸준히 시간이 허락하는 선에서 매일 커밋을 해보려고 노력해야겠다.

 

keep go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