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메이븐 형태로 진행했는데
현업에서는 메이븐이 아닌 gradle형태가 더 많다고 한다
보통 인텔리제이 내부에서 프로젝트를 세팅해서 실행했지만
웹사이트 내에서 파일을 세팅하고 다운로드 받아서 인텔리제이에서 열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https://start.spring.io/ 라는 사이트를 통해서 쉽게 Dependencies도 추가할 수 있다
해당 사이트에서 프로젝트 방식을 Gradle-Groovy로 정해주고
언어는 자바를 자바를 선택한다
스프링부트 버전을 선택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주의할 점은 SNAPSHOT은 아직 정식버전이 되기 전 버전으로
제외하고 선택해주면 되는데 3.0.1이 최신이지만 그 아래 버전을 선택해줬다 안정성이 조금이라도 더 있는 버전이 좋을 것 같다
그 외에 아래에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설명하기 위해 본인이 편하게 작성해주면 되는데
크게 손대지는 않았다
끝으로 jar 또는 war중 선택하는데 jar를 기본으로 선택해주었다
마지막 자바 버전은 최소8버전부터 19버전까지 있는데 보통 11버전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11버전을 선택해주었다
그리고 스프링부트 프레임워크에서 디펜던시를 선택해주면 직접적으로 코드를 복사 붙여넣기 하지 않아도
필요한 디펜던시가 임포트 된 상태로 프로젝트가 생성되기 때문에
lombok이나 spring web, mysql, mybatis 등 필요한 것들을 편리하게 추가해줄 수 있다
모든 준비가 되었다면 하단에 GENERATE를 클릭해서 파일로 다운로드를 받으면 된다
파일을 열기 위해서 인텔리제이를 실행해주고
OPEN을 클릭해서 다운받은 파일을 열어주면
안내 문구가 나와서 해당 프로젝트 파일을 신뢰하겠냐? 라고 묻는데 turst project를 눌러주면된다
이렇게 눌러주면 파일이 열리게 되고
우측 하단에서 그래프가 움직이면서 외부로부터 필요한 파일 수십mb가 다운되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기초적인 파일 세팅은 이렇게 끝이 났고
이제 기획 및 설계한 대로 프로젝트를 시작해주면 된다.
스프링부트를 공부하면서 느낀 것은
Service , dto , dao 가
Service, domain, repository로도 쓰인다는 것인데
그 차이를 분명히 알고 폴더 구조를 짤 경우 어떤 것을 사용할지 정하면 좋을 것 같다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가는 길에 정리해보는 백엔드 기초 지식 (0) | 2023.01.12 |
---|---|
Post방식 form데이터 전송 & 포스트맨과 html 파일 전송 모두 해보기 (1) | 2023.01.12 |
readOnly 속성 , 총합 숫자로 구하는 Number (0) | 2022.12.31 |
MySQL Workbench 설치 및 스키마 생성 (0) | 2022.12.22 |
맥OS brew를 이용한 MariaDB 설치 및 실행 (0) | 2022.12.22 |